양양명주사동종 (강원) △ 양양명주사동종 (襄陽明珠寺銅鐘)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4호 강원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리 -조선 숙종 30년(1704)에 만들어진 높이 83㎝의 전형적인 조선 후기 범종이다. 종을 매다는 용뉴가 종의 몸체에 비하여 가냘프며, 2마리의 용이 다소 형식화 된 느낌을 준다. 종 윗쪽의 4곳에 일반.. ▒▒▒문화재답사 ▒/한국의 동종-자료 2007.12.09
팔달문동종 (수원) 팔달문동종 (八達門銅鐘)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 경기 수원시 팔달구 팔달로2가 동 -고려 1080년(문종 34) 2월, 개성에서 주조되어 수원 만의사에서 사용되다가 숙종 13년(1687) 3월, 만의사 주지승 도화가 다시 주조되었다. 정조 때 화성축성과 함께 파루용의 기능으로 전락하여 화성행궁 .. ▒▒▒문화재답사 ▒/한국의 동종-자료 2007.12.09
홍무25년장흥사명동종 (서울 봉은사) △ 홍무25년장흥사명동종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6호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531 (삼성동) -조선시대 만들어진 종으로 원래 장흥사 종이었는데, 언제 이곳 봉은사로 옮겨졌는지는 알 수 없다. 종을 매다는 용뉴는 떨어져 나갔지만 몸체는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종 아래에 연화대를 두.. ▒▒▒문화재답사 ▒/한국의 동종-자료 2007.12.09
범어사동종 (부산) ▲ 범어사동종 (梵魚寺 銅鐘)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0호 청룡동 546번지 청룡동 546번지 -범어사 종루에 매달려 있는 이 동종은 높이 127.0cm, 종구(鐘口) 지름 92.5cm인 규모가 제법 큰 범종이다. 천판(天板) 정상부에 쌍룡의 용뉴(龍鈕)가 조형되어 있고, 동체 윤곽선이 아래로 가면서 .. ▒▒▒문화재답사 ▒/한국의 동종-자료 2007.12.09
개암사동종 (부안) ▲ 개암사동종 (開岩寺銅鐘)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감교리) -개암사 종각에 보관되어 있으며, 전체 높이 89.0㎝, 입 지름 61.5㎝이다. 종의 윗부분에는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와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용통이 있다. 어깨부위에는 사각형으로 띠를 .. ▒▒▒문화재답사 ▒/한국의 동종-자료 2007.12.09
용다사동종 (龍茶寺銅鐘) ▲ 용다사동종 (龍茶寺銅鐘)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성보박물관 (동산리) - ▒▒▒문화재답사 ▒/한국의 동종-자료 2007.12.09
참당암동종 (고창) △ 참당암동종 (懺堂庵銅鐘)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6호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삼인리)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안에 있는 입 지름 50㎝의 조선시대 범종이다. 종을 매다는 용뉴는 용이 네발을 종에 대고 웅크리고 있는 형상이다. 어깨부위에는 둥근 원으로 띠를 두르고, 원안.. ▒▒▒문화재답사 ▒/한국의 동종-자료 2007.12.09
실상사동종 (남원) ▲ 실상사동종 (實相寺銅鐘)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번지 -실상사 경내에 있는 높이 123㎝, 입 지름 83㎝의 종이다. 종을 매다는 고리는 용이 종머리를 딛고 있는 형상이며,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용통은 간략화 된 용이 꼬리를 휘감은 모양을 하고있다... ▒▒▒문화재답사 ▒/한국의 동종-자료 2007.12.09
송광사동종 (松廣寺銅鐘) ▲ 송광사동종 (松廣寺銅鐘)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107㎝, 입 지름 73㎝의 종이다. 종을 메다는 고리는 용이 여의주를 갖고 있는 형상이며, 옆으로 소리 울림을 도와 주는 음통이 있다. 종 윗부분에는 꽃무늬로 띠를 두르.. ▒▒▒문화재답사 ▒/한국의 동종-자료 2007.12.09
강릉 관음사 소장동종 ▲ 강릉관음사소장동종 (江陵 觀音寺 所藏 銅鍾)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금학동 29번지 관음사 금학동 29번지 관음사 -외래요소가 반영된 조선후기의 범종으로 종신의 명문을 통해 제작연대(1794년, 정조 18년)와 주종장(權東三) 등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어, 조선후기 범종의 양식적 변.. ▒▒▒문화재답사 ▒/한국의 동종-자료 2007.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