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 (7) 관수교 -관수교 : 관수란 수위를 관찰한다는 의미이며, 옛 준천사에서 청계천의 수위를 관측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문화재답사 ▒/청계천 2011.06.17
청계천 - (6) 수표교 -임시보도교(수표교) : 1441년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 청계천에 수위를 측정하는 수표가 있었는데, 이 수표의 이름을 따서 수표교라고 불리는 다리가 있었던 자리에 임시로 지어진 다리이다. 현재 수표교는 장충단공원으로 옮겨져 있다. 정식 명칭은 임시보도교지만, 현재는 주로 수표교로 불린다고 한.. ▒▒▒문화재답사 ▒/청계천 2011.06.17
청계천 - (5) 삼일교 -삼일교 : 삼일로를 연결하기 때문에 삼일교라고 이름 붙였다. 삼일로는 독립선언을 한 탑골공원과 인접한 거리를 기념하여 이름 붙였다고 한다. ▒▒▒문화재답사 ▒/청계천 2011.06.17
청계천 - (4) 장통교=관철교 -장통교(관철교) : 중부 장통방에 있던 다리라서 장통교 또는 장교라고 부른다. 개설 당시 명칭은 관철교였다고 한다. ▒▒▒문화재답사 ▒/청계천 2011.06.17
청계천 - (3) 광교 -광교 : 남대문로의 광교 사거리에 위치를 하고 있으며, 옛 광통방 근처 넓은 다리라는 의미로 광교로 불렀다. 옛날 광통교 자리에 있었다고 한다. ▒▒▒문화재답사 ▒/청계천 2011.06.17
청계천 - (2) 광통교 *광통교(廣通橋) : 육조거리에서 숭례문으로 이어지는 도성 안 중심통로이여서 옛 도성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던 다리다. 대광통교(大廣通橋), 북광통교(北廣通橋), 대광교(大廣橋), 광교(廣橋) 등으로도 불렸다. 태조 때에 흙으로 축조되었다가 폭우로 인하여 무너지자 1410년 (태.. ▒▒▒문화재답사 ▒/청계천 2011.06.17
청계천 - (1) 모전교 -모전교(毛廛橋) : 무교동 3번지 북쪽에 있던 다리이다. 우전교(隅廛橋), 모교(毛橋), 신화방동구교(神和坊洞口橋), 신화방동입구교(神和坊洞入口橋)라고도 불렸다. 모전(隅廛)이란 '과일가게'를 이르던 옛말로, 모전 근처에 있었기 때문에 모전교로 이름지었다. 1412년 태종 12년 석.. ▒▒▒문화재답사 ▒/청계천 2011.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