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여주군 향토유적 제14호
명 칭 : 신접리 고인돌
지정일 : 1996. 1. 11.
소 재 지 : 여주읍 천송리 297-20
시 대 : 고려시대
자료참조 : 여주군청
△ 여주시 향토유적 제14호 - 신접리 고인돌. 141215.
-북내면 신접리 56-1번지에 위치하는 이곳은 접줄마을의 입구이다. 탁자식인 이 고인돌은 2003년 6월 세종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실시하기 전의 모습을 보면, 덮개돌과 양쪽에 굄돌이 있었으며 부분적으로 파괴가 많이 된 상태였다. 즉 고인돌의 서쪽 굄돌이 무덤방의 안쪽으로 쓰러지면서 덮개돌이 20°쯤 기울어진 모습이었다.
덮개돌의 재질은 거정화강암 계통이고 크기는 200×184×30~40㎝이며 무게는 2톤쯤 된다. 평면 생김새는 마름모꼴이고, 윗면은 편평하다. 그리고 가장자리에는 손질을 많이 한 흔적이 관찰된다. 놓인 긴 방향은 남북쪽이었다.
굄돌은 덮개돌의 동쪽과 서쪽에 놓여 있었으며 가운데 부분이 조금 두툼한 느낌을 준다. 재질은 양쪽 모두 덮개돌과 같은 거정화강암이었다.
동쪽 굄돌의 평면 생김새는 한쪽이 긴 육각형 모양이다. 겉면과 가장자리에 비교적 손질을 많이 하였다. 크기는 200×185×20~30㎝이며, 무게는 덮개돌보다 약간 무거운 2.1톤쯤 된다.
서쪽 굄돌은 평면 생김새가 모를 죽인 삼각형이고 동쪽 것처럼 가장자리에는 손질이 많이 되었다. 크기는 197×150×30~40㎝이며 무게는 2.1톤쯤 된다.
이 고인돌은 발굴조사 결과, 후대에 무덤방이 파괴되면서 서쪽 굄돌이 기울어져 고인돌의 전체적인 모습이 한쪽으로 비스듬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동쪽 굄돌의 가장자리에서는 굄돌이 쓰러지지 않도록 벽면 주위에 보강한 돌과 바닥에서 찰흙다짐을 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렇게 탁자식 고인돌의 굄돌을 보강한 경우는 연천 학곡리 2호와 북한지역의 연탄 송신동 4·10호 고인돌에서 보고되었다.
무덤방은 후대에 파괴가 심하여 전체적인 크기나 형태는 알 수 없지만 굄돌의 위치로 보아 긴 네모꼴로 여겨지며, 출토 유물은 없었다.
현재 이 고인돌은 발굴조사된 다음 신륵사 관광단지로 이전하여 복원 전시하였다.
'▒▒▒문화재답사 ▒ > 향토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흥 향토유적 제8호 - 경기 시흥시 관곡지 (0) | 2012.09.06 |
---|---|
안성 향토유적 제 38호 - 안성 남사당 바우덕이 묘 & 사당 (0) | 2012.02.15 |
안성 향토유적 제 27호 - 청룡사 부도군 (0) | 2012.02.15 |
향토유적 제 19호 - 안성 석남사 석탑 (0) | 2012.02.14 |
안성 향토유적 제 24호 - 칠장사 사적비 (0) | 201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