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교구 : 서울-조계사 (제1교구 겸 직할교구)
▲ 제2교구 : 화성-용주사
▲ 제3교구 : 속초-신흥사
▲ 제4교구 : 평창-월정사
▲ 제5교구 : 보은-법주사
▲ 제6교구 : 공주-마곡사
▲ 제7교구 : 예산-수덕사
▲ 제8교구 : 김천-직지사
▲ 제9교구 : 대구-동화사
▲
▲ 제10교구 : 영천-은해사
▲ 제11교구 : 경주-불국사
▲ 제17교구 : 김제-금산사
▲ 제22교구 : 해남-대흥사
▲ 제23교구 : 제주 관음사
▲ 제24교구 : 고창-선운사
▲ 제25교구 : 진건-봉선사
※ 1945년 불교종단을 통합하여 탄생한 대한불교 조계종은 전국에 있는 관할 사찰 3,000여개를 25개 교구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25개 교구 본사에 소속되어 있는 절을 말사하고 한다. 대개 교구 본사는 유서 깊고 규모가 크지만 반드시 본사가 말사보다 크진 않은 것 같다.
제1교구 : 서울-조계사 (제1교구 겸 직할교구)
제2교구 : 화성-용주사
제3교구 : 속초-신흥사
제4교구 : 평창-월정사
제5교구 : 보은-법주사
제6교구 : 공주-마곡사
제7교구 : 예산-수덕사
제8교구 : 김천-직지사
제9교구 : 대구-동화사
제10교구 : 영천-은해사
제11교구 : 경주-불국사
제12교구 : 합천-해인사
제13교구 : 하동-쌍계사
제14교구 : 부산-범어사
제15교구 : 양산-통도사
제16교구 : 의성-고운사
제17교구 : 김제-금산사
제18교구 : 장성-백양사
제19교구 : 구례-화엄사
제21교구 : 순천-송광사
제22교구 : 해남-대흥사
제23교구 : 제주-관음사
제24교구 : 고창-선운사
제25교구 : 남양주-봉선사
현재 불교종단은 조계종 이외에 태고종, 천태종, 열반종 등 다양하며 각각 대표하는 사찰과 조직을 가지고 있다. 기독교에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 등의 교단이
▼ 대한불교조계종 25교구 본사 분포도
■ 대한불교조계종 25교구 본사
※ 본사에 대한 내력은 본사 홈페이지나 인터넷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직 할 교 구 - 조계사
2교구 본사 - 용주사(경기도 화성시 태안읍)
3교구 본사 - 신흥사(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4교구 본사 - 월정사(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5교구 본사 - 법주사(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6교구 본사 - 마곡사(충남 공주군 사곡면)
7교구 본사 - 수덕사(충남 예산군 덕산면)
8교구 본사 - 직지사(경북 김천시 대항면)
9교구 본사 - 동화사(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10교구 본사 - 은해사(경북 영천시 청통면)
11교구 본사 - 불국사(경북 경주시 진현동)
12교구 본사 - 해인사(경남 합천군 가야면)
13교구 본사 - 쌍계사(경남 하동군 화개면)
14교구 본사 - 범어사(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15교구 본사 - 통도사(경남 양산시 하북면)
16교구 본사 - 고은사(경북 의성군 단촌면)
17교구 본사 - 금산사(전북 김제시 금산면)
18교구 본사 - 백양사(전남 장성군 북하면)
19교구 본사 - 화엄사(전남 구례군 마산면)
20교구 본사 - 선암사(전남 순천시 승주읍)
21교구 본사 - 송광사(전남 순천시 송광면)
22교구 본사 - 대흥사(전남 해남군 삼산면)
23교구 본사 - 관음사(제주시 아라동)
24교구 본사 - 선운사(전북 고창군 아산면)
25교구 본사 - 봉선사(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 제18교구 : 장성-백양사 - 고불매
▲ 제19교구 : 구례-화엄사
▲ 제 20교구 승주 선암사(x)
▲ 제21교구 : 순천-송광사 - 국사전
▲ 제12교구 : 합천-해인사
▲ 제13교구 : 하동-쌍계사
▲ 제14교구 : 부산-범어사
▲ 제15교구 : 양산-통도사
▲ 제16교구 : 의성-고운사
'▒▒▒▒()▒▒▒▒ > 조계종 25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1교구 : 순천 송광사 (0) | 2008.02.21 |
---|---|
제22교구 : 해남 대흥사 (0) | 2008.01.26 |
제23교구 : 제주 관음사 -- (0) | 2008.01.18 |
제24교구 : 고창-선운사 (0) | 2008.01.07 |
제25교구 : 진건-봉선사 (0) | 2007.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