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답사 ▒/국립고궁박물관

보물 제841호 - 간평일구·혼개일구

나무향(그린) 2014. 4. 7. 07:27

종 목 : 보물 제841호

명 칭 : 간평일구·혼개일구 (簡平日晷·渾蓋日晷)

분 류 : 유물 / 과학기술/ 천문지리기구/ 지리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5.08.09

소 재 지 : 서울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국립고궁박물관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 보물 제841호 - 간평일구·혼개일구. 140306.

 

-간평일구·혼개일구(簡平日晷·渾蓋日晷)는 2개의 해시계를 하나의 돌에 새긴 매우 독특한 형태의 해시계이다. 서울의 위도 37도 39분 15초와 황도와 적도의 극거리 23도 29분을 측정기준으로 하여 1785년에 만들었다고 새겨져 있다.

간평일구는 앙부일구를 그대로 수평면 위에 투영한 것과 같으며 길이 129㎝, 넓이 52.2㎝, 두께 12.3㎝이다. 해시계 면의 지름은 43㎝이며, 평면 원의 중심을 천정(天頂)이라 새기고 시각선의 복사점을 북극이라 새겼는데, 이 북극에 맞춰 보아 상공의 태양운행과 시간을 알 수 있게 고안한 것이다.

혼개일구는 해시계 면의 지름 46㎝이며 2구 모두 원안에 곡선으로 이루어진 세로선과 가로선들이 그어져 있는데, 세로선은 시간을 가로선은 계절을 나타낸다. 가운데 바늘의 길이는 원지름의 반이고 그림자의 변화에 따라 시간을 알 수 있다. 또 절기마다 정오에 태양의 고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계절선에 나타나는 그림자 길이가 다른 것을 보고 24절기를 알 수 있다.

이 2구의 해시계는 시계면의 선들이 정확하고 정교하며 또 섬세한 선들을 음각하여 돌에 새긴 솜씨가 뛰어나다. 품위가 있고 구조가 독특한 것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