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평화의 댐: 북한의 금강산 댐의 수공(水攻) 위협에 대비해 1987년 2월부터 1988년 5월까지 강원도 화천군 화천 댐의 북한강 상류(구만리)에 1차로 건설한 댐. 130726.
-1986년 10월 30일 건설부(지금의 건설교통부)장관이 북한에 대해 금강산 댐의 건설계획을 중지하라는 '대(對)북한 성명문'을 발표했다. 발표에 의하면 북한은 당시 휴전선 북방 10㎞ 북한강 본류와 금강산이 만나는 곳에 대규모 댐을 건설하고(금강산 댐) 그 물을 원산 쪽으로 역류시켜 발전하는 공사를 진행중인데, 이 댐이 완성될 경우 화천 방면을 거쳐 북한강으로 유입되는 연간 18억t의 공업 및 생활용수의 공급이 중단되고, 화천·청주·팔당 등 5개 댐의 발전량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었다. 또 금강산 댐의 수공시 피해예측에서, 만일 9억t의 물이 방류되면 한강 인도교 부근 수위가 표고 20m까지 상승하여 제방(18m)을 월류해 서울의 1/3이 침수하고, 최대 저수량인 200억t이 방류될 경우 수위가 50m로 높아져 수도권이 황폐화되며, 금강산 댐이 수공으로 1988년 서울 올림픽 대회를 방해하기 위한 댐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1986년 11월 26일 국방부·건설부·문화공보부(지금의 문화부)·통일원 장관이 합동담화문을 발표하고 금강산 댐에 대한 대응으로 평화의 댐을 건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댐 공사는 1·2단계로 나누어 축조하되 1단계 댐은 1988년 5월말을 완료예정으로 하여, 총공사비 1,700억 원을 정부예산과 국민성금 600억여 원으로 충당하기로 하고 1987년 2월 28일 기공식을 가졌다.
평화의 댐은 문민정부가 들어선 1993년에 감사원의 감사를 받았는데, 여기에서 북한 금강산 댐의 수공위협과 피해예측은 과장된 것이었으며 당시 평화의 댐 건설은 불요불급했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감사에 따르면 금강산댐의 저수량 70억~200억t은 과대산출로, 종합분석한 결과 27.2억~59.4억t이 적정치였으며 59.4억t이 방류되어도 마포·용산 지역 등 일부 저지대만이 침수당한다는 것이다. 결국 평화의 댐은 정권안보차원에서 조급한 과잉대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된다.-백과사전
'▒▒▒▒()▒▒▒▒ > 문화재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궤산정 - 의정부시 장암동 (0) | 2013.09.09 |
---|---|
펑풍정 - 경기 의정부시 장암동 (0) | 2013.09.09 |
자작나무 숲 - 김천 수도산 - 모티길 (0) | 2013.08.22 |
아산 소악면 - 천년의 숲길 (0) | 2013.07.19 |
임해군묘 (남양주 진건)-2 (0) | 2013.07.14 |